FFighting

CONTACT

Seoul, Korea

SKILLS

AI
Battery
Manufacturing

SOCIALS

Passion Driven AlgorithmerFFighting\Huge \textbf {Passion Driven Algorithmer} \\ \small - FFighting
안녕하세요! 매 순간의 열정을 따라가고 있는 FFighting, 석종엽입니다!
“의미 없어 보이던 점들이 어느 순간 연결되어 큰 시너지를 발휘한다”는 스티브 잡스의 말을 깊이 신뢰하며, 제 열정의 모든 점들이 결국 큰 그림을 완성할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매 시기마다 저를 이끄는 열정을 좇아 새로운 ‘점’들을 하나씩 모아가고 있습니다.
학부 시절의 이차전지 연구 경험이라는 점과 AI 연구·개발 경험이라는 점을 연결해, 최근에는 배터리 산업에 AI 기술을 접목하여 혁신을 이루는 데 모든 열정을 쏟고 있습니다. AI는 활용 방법에 따라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저는 이 도구를 통해 배터리 산업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것이 제 소명이라고 믿습니다.
저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문제의 본질은 ‘새로움’ 자체가 아니라, ‘두려움과 주저함’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성공의 열쇠는 자격증이나 학위가 아닌 ‘집요함과 끈기’라고 확신합니다. 서로 다른 점들을 이어 시너지를 만들어낼 때 오는 희열을 소중히 여기며, 언제나 어제보다 성장한 오늘을 추구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관을 함께 공유하는 사람들과 함께할 때 큰 행복을 느낍니다.
‘개인은 스스로의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조직은 원칙에 따른 명확한 신상필벌을 통해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 저는 이것이 조직과 구성원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이상적인 시스템이라고 믿습니다. 앞으로도 이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고, 저의 경험과 열정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ASSEMBLED DOTS

2025 ~ 현재
R&D AI 파트 리더 | LG에너지솔루션
25년부터 AI솔루션팀 R&D 파트의 리더로서 다양한 AI 프로젝트를 리딩하고 있습니다. 작년까지 프로젝트 리더로 진행했던 ‘최적 셀 설계안 추천’ 프로젝트는 고도화와 비즈니스 확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배터리 전기화학적 거동을 설명하는 P2D 모델, 열폭주 시뮬레이션 등을 딥러닝 기반으로 구현하는 프로젝트도 새롭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에 연구원들이 직접 수행하던 모듈 및 팩 개발 프로세스를 알고리즘화하여 효율을 높이는 프로젝트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프로젝트의 리더로서 무엇보다도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실제 사용자에게 감동을 주는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것입니다. 보고를 위한 결과물이 아닌, 현업 연구자와 엔지니어들이 업무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AI 프로젝트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철학을 지키기 위해서는 기술적 완성도뿐 아니라 현장의 요구사항을 깊이 이해하고, 실제로 활용 가능한 솔루션을 만드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앞으로도 이 철학을 유지하며 배터리 산업에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AI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2023 ~ 2024
AI 프로젝트 리더 | LG에너지솔루션
AI기술팀에서 ‘최적 셀 설계안 추천’ 프로젝트의 리더로 활동하며, 전통적인 실험 및 시뮬레이션 방법이 주를 이루던 배터리 설계와 개발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도입했습니다. ‘최적 셀 설계안 추천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런칭해 실제 셀 개발 프로세스를 획기적으로 혁신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기존에는 오랜 시간에 걸친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답을 찾았지만, AI를 활용한 접근 방식을 통해 개발 기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배터리 설계 및 개발의 효율성을 한 차원 끌어올리는 계기가 되었고, 동시에 AI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되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증명해 보였습니다.
AI 기술이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에 가까워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계에서의 적용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고자 Robotics, Physics-Informed Neural Networks, Diffusion Model 등 배터리 산업에 응용 가능한 다양한 첨단 기술을 연구 및 적용하며, 배터리 설계와 개발 과정을 본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매진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산업계 전반에서 AI를 활용한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2020 ~ 2023
AI 연구원 | 현대자동차-AIRLab
현대자동차의 AI 연구조직인 AIRLab에서 AI 연구원 겸 개발자로 활동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양궁 AI 코치 알고리즘, Driving View OCR(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 차체 공장의 대차 정렬 알고리즘 개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제조 현장에서 필요한 실제 문제 해결에 집중했습니다. 또한 전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AI 교육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여, 제조 기업 내에서 AI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업무 적용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연구원으로서 Anomaly Detection(이상 징후 감지) 분야에도 관심을 두고, 실제 제조 환경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러닝 모델을 설계하고 실험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과 제조 기업의 문화적 차이를 피부로 느끼게 되었고, 두 분야를 잇는 최적의 기업 문화와 AI 활용 전략에 대한 고민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2015 ~ 2020
생산기술 엔지니어 | 현대자동차-생산개발본부
울산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생산개발본부에서 생산기술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국내외 여러 차량 양산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시간당 수십 대의 차량을 꾸준히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정과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현장에서 직접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입사 4년 차에는 조립 공정 최적화 및 자동화를 위해 ‘AI를 사용한 조립 공법서 자동화’ 프로젝트를 독자적으로 기획하고 진행했습니다. 이는 제가 AI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제조업에서도 AI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미래 가치를 확신하는 중요한 경험이 되었습니다.
2014 ~ 2015
연구 인턴 | 연세대학교 이차전지 랩
연세대학교 이차전지 연구실에서 Electrospinning 기법을 활용한 리튬 이온 배터리 전극 성능 향상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단 한 번의 실험 데이터를 얻기 위해 필요한 실험 설계, 실행, 분석 과정이 매우 길고 복잡하다는 사실을 몸소 느끼며, 더 효율적인 연구 방법과 기술에 대한 갈증을 키웠습니다. 이때 경험한 현장의 어려움과 실험 데이터의 가치는 이후 배터리 기업에서 근무하며 AI를 도입하는 동기가 되었고, 연구·개발·생산 등 배터리 산업 전반에 AI가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발판이 되었습니다.
2013 ~ 2014
초대 회장 | 연세대학교 배드민턴 중앙동아리 POWERS
연세대학교 배드민턴 중앙동아리 POWERS에서 초대 회장으로 활동하며, 1년간 동아리 운영과 조직 문화를 구축했습니다. 매월 자체 대회를 열고 랭킹제를 도입하여 부원들의 경쟁심을 자극했고, 이는 전체적인 실력 향상과 동기부여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팀을 이끌고 성장시키는 조직 운영의 기본 원리를 체득할 수 있었고, 목표 중심적이고 결과 지향적인 리더십이 어떤 방식으로 발휘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인사이트를 얻었습니다.
2011 ~ 2013
훈련소 조교 |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공군 교육사령부 기본군사훈련단에서 훈육 조교로 복무하며, 2년간 다양한 훈련병들을 교육하고 지도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다채로운 리더십 스타일을 직접 시도해보며, 솔선수범과 원칙 중심의 행동이 진정한 리더십의 시작점이라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예를 들어, 낙오된 훈련병의 군장을 대신 짊어지고 함께 뛰었을 때, 말뿐인 지시가 아니라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존경과 지지를 얻을 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이러한 통찰은 이후 어떠한 조직에서든 사람을 이끌고 협력하는 데 큰 자양분이 되었습니다.

EDUCATION

2019 ~ 2020
Self Driving Car Engineer | Udacity
2009 ~ 2015
신소재공학 | 연세대학교
2006 ~ 2009
중산고등학교